GraphOmakase

Place for sharing the trend and foundation graph technology

GraphOmakase

3월 5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The dynamic nature of percolation on networks with triadic interac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3-37019-5] “preliminary” percolation effect 그들은 3차 상호 작용의 역학을 고려한 모델을 제안하고 이것이 개인 간의 쌍방향 상호 작용만 고려하는 모델과 비교하여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네트워크 과학에서 퍼콜레이션(percolation)은 노드 또는 에지가

By Hardy

GraphOmakase

3월 4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Social network analysis of Japanese manga: similarities to real-world social networks and trends over decades [https://arxiv.org/pdf/2303.07208.pdf] * 여러분들은 그래프 데이터가 언제 와닿나요? 주변에 있는 사물 혹은 인간 관계등이 직관적으로 표현될 때가 가장 이해하기도 쉽고 재밌었던것 같네요. 데이터 도메인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이해하고 있기에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By Hardy

GraphOmakase

3월 3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Weighted flow diffusion for local graph clustering with node attributes: an algorithm and statistical guarantees [https://arxiv.org/pdf/2301.13187.pdf] * graph clustering 방법론들은 노드 , 엣지의 구조만을 활용한 방식들이 대다수입니다. large graph 에서 conductance 라는 서브 그래프간 tightly connected 를 측정하는 지표를 토대로 clustering 이 잘 되었는지 되지 않았는지를

By Hardy

GraphOmakase

3월 2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Graph Rewiring: From Theory to Applications in Fairness [https://github.com/ellisalicante/GraphRewiring-Tutorial] * 3월 2주차 그래프 오마카세의 시작은 GNN 고질적인 문제인 ‘over-smoothing , over-squashing and under-reaching 을 어떻게 네트워크 이론으로 해결해볼것인가’라는 관점이 담겨있는 튜토리얼 소개로 시작해보겠습니다. * 기존에는 graph rewiring 이라는 기술을 활용해서 노드간 정보 흐름을 적절하게 조절해주곤 했습니다. 여기에서 ‘적절하게’

By Hardy

GraphOmakase

3월 1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Identifying critical nodes in complex networks by graph representation learning [https://arxiv.org/pdf/2201.07988.pdf] * 네트워크 데이터에서 중요한 노드,엣지를 찾는것은 복잡계 네트워크 뿐만아니라, 물리 통계 수학 분야를 가리지 않고 많은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그 결과로 저희가 자주 활용하는 pagerank, degree centrality 등이 탄생하게 된거죠. 하지만 데이터

By Hardy

GraphOmakase

2월 3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Graph Neural Networks Go Forward-Forward modeling [https://arxiv.org/pdf/2302.05282.pdf] * ‘Backward 를 Forward 로 대체한다’라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적용한 논문입니다. 레이어를 거듭하며 파라미터가 갱신되는 기존 학습 방식과 다르게, 오직 한 레이어에서 파라미터가 갱신되는 방식입니다. 그럼 자연스레 체인룰 과정이 생략되며 cost 가 간소화되는 효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본

By Hardy

GraphOmakase

2월 2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그래프 임베딩 하실 때 데이터에 대해 고민해보신 경험 있으실까요? 오늘 이 시간에는 임베딩 결과에 도움이 될만한 네트워크 지표를 가져왔습니다. 바로 degree 뿐만 아니라, clustering coefficient , path length 등에 대한 요소들입니다. 그럼 이 요소들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라는 의문이 드실텐데요. 활용 사례를 말씀드려볼게요. Table 2.1. 에서 나온 지표들을 모두 고려하면

By Hardy

GraphOmakase

2월 1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static and dynamic robustness Dynamic 편 * Robustness 기억나시나요? 저번주 오마카세에서는 ‘static’ 맥락을 다루었다면, 이번주차는 ‘dynamic’ 맥락입니다! ‘static 와 dynamic 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역학’ 입니다. 코로나를 역학조사 할 때도 쓰인 개념이죠. SIR 모델. 누군 치료되고 누군 감염되는 등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네트워크 상태 예의주시하는게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가 예측을 할

By Hardy

GraphOmakase

1월 4주차 그래프 오마카세

Static and dynamic robustness * 오늘 다루어볼 네트워크 지식은 ‘robustness’ 입니다. 딥러닝 분야에서와 복잡계 네트워크 분야에서의 ‘robustness’는 모델의 강건함을 측정한다는 동일한 목적이 있으나, 어떤식으로 측정할지 기준치 사전분포 측정과 같은 요소들 때문에 약간 결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 ‘robustness’ , 딥러닝 분야에서는 training 데이터셋에 존재치않은 out-of-distribution 데이터를 inference 할 때 퍼포먼스가 얼마만큼

By Hardy